Active Directory = AD
-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정의한 윈도우 기반의 서비스
- 중앙관리 시스템
AD 보안의 취약점
- 공격자가 취약점을 악용해 AD 환경에 침투하는 경우
- 계정 보안 : 약한 비밀번호, 과도한 관리자 권한 부여
- 패치 관리 실패 : 오래된 소프트웨어로 인해 악성코드 감염 가능성 증가 (보안 업데이트 미시행)
- 네트워크 구성 문제 : 과도하게 열린 포트, 방화벽 규칙 부족
- 공격자가 높은 권한을 가진 계정의 자격을 도용해 시스템에 접근하는 경우
- 영구적으로 권한이 부여된 계정 ex) 개발자
- 도메인 컨트롤러 (AD 환경에서 도메인을 관리하는 핵심 서버, 네트워크에서 사용자, 컴퓨터, 리소스에 대한 인증과 권한 부여하는 핵심 서버)
- 중요한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는 VIP 계정
실제 AD 관련 보안사고 사례
사례1) 중국 해킹 그룹 storm-0558의 미국 정부기관 이메일 시스템 해킹 사건
- 사건 개요
: 2023년 7월, 공격자가 마이크로 소프트 서명키 입수함
→ 서명키를 사용해 계정에 대한 AD 액세스 토큰을 위조함
*토큰 :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디지털 인증서
→ 토큰을 이용해 정상 사용자로 위장해 다양한 시스템에 몰래 들어감
- 취약점
서명 키 관리 제대로 하지 못함
→ 서명 시스템의 오류로 크래시 덤프에 서명 키가 있다는 것을 탐지하지 못함
* 크래시 덤프 : 컴퓨터 프로그램, 운영체제가 비정상적으로 종료될 때 해당 시점의 정보를 기록한 파일
→ 마이크로소프트의 보안 장비에서도 서명키를 발견하지 못함
→ 디버깅 팀으로 넘어감
→ 디버깅 팀이 사용하던 컴퓨터가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었음
→ 디버깅 환경이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어 공격 가능성 높하짐
→ storm-0558 공격자가 마이크로소프트 소속 엔지니어 계정을 침해함
→ 크래시 덤프에 숨겨져있던 서명 키 발견
사례2) 대만 기업 ASUS 공급망 해킹 사건
- 사건 개요
: 2019년 3월, 공격자가 Clop 랜섬웨어 공격으로 ASUS의 업데이트 서버 공격
→ 업데이트 파일을 변조해 전세계 100만대 이상의 PC 감염
* Clop 랜섬웨어 : 랜섬웨어의 한 종류, AD 서버를 주 공격대상으로 삼음,
이메일로 악성코드를 유포하고 감염에 성공하면 AD 서버에 접근해 PC와 외부에서 접근할 수 있는 루트를 생성해 내부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침해함.
기존 랜섬웨어는 개인을 노리고, Clop랜섬웨어는 기업을 노림.
- 취약점
이메일 보안 취약했음
→ 업데이트 서버 보호되지 않음
→ AD서버 보안이 취약해 내부 시스템 침해가 쉽게 이루어졌음
→ 변조된 업데이트 파일을 검증하지 못함
사례3) 대법원 내부망 해킹
- 사건 개요
: 2021년 1월~2023년 2월까지 북한 해커조직 '라자루스' 가 해당 AD 서버 관리자 계정 해킹
→ 개인정보 등이 포함된 자료 14GB를 빼냄
- 취약점
비밀번호가 password였음
→ 망 분리를 하지 못함 (AD 서버가 내부망뿐만 아니라 외부와 연결됨)
→ 보안 로그 모니터링, 경고 체계 등 침입 탐지를 하지 못함
→ 자료의 암호화가 적용되지 않음
AD 보안 대응 방안
1. 강력한 비밀번호 사용 : 최소 12자 이상, 대/소/특수문자 포함, 90일마다 변경 요구
2. 비활성화된 계정 삭제 : 90일 이상 사용하지 않는 계정 자동 비활성화 및 삭제
3. 관리자 및 주요 사용자 계정에 다중 인증을 적용해 계정 탈취 방지
4. 많은 사람에게 관리자 권한 부여 방지
5. 망 분리 적용 : 인터넷과 내부망을 분리해 침해 확산 방지
6. 방화벽 규칙 설정 강화 : AD 서버가 사용하는 포트 외 불필요한 포트 차단
7. 침입 탐지 및 예방 시스템 (IDS/IPS)도입
8. 비정상적인 로그가 있는지 주기적으로 점검
9. 정기적인 AD 백업 수행
10. 데이터 암호화 적용
등등등. . .
'파이썬스터디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개인정보 국외 이전에 대한 개인정보보호법 위반 사례 - 카카오페이&알리페이 (1) | 2025.02.22 |
---|---|
OWASP LLM Top 10 (2025) 각 취약점 예시, 대응 방안 (0) | 2025.02.07 |
Meadiapipe + YOLO를 결합한 마스크 착용 검출 모델 (0) | 2025.01.11 |
12.1 unsupervised learning (비지도 학습) : k-means 알고리즘 (0) | 2024.11.14 |
캐글 타이타닉 필사 1. Dataset check (7) | 2024.09.28 |